반응형 취미55 Marc Delienne Avalanche de Printemps 2018 가메 보졸레 레드와인추천(마크 드리엔 아발랑슈 드 프랭팡 2018) 「 Domaine Marc Delienne 」 Marc Delienne Beaujolais Rose Petit Ami 2018 가메 보졸레 로제와인추천 (마크 드리엔 로제 르 쁘띠 아미 2018) Marc Delienne Beaujolais Rose Petit Ami 2018 가메 보졸레 로제와인추천 (마크 드리엔 로제 르 쁘띠 아미 2018 상큼한 오렌지색을 나타내는 로제 르 쁘띠 아미 2018(Le Petit Ami 2018) 소개 시작하겠습니다. 「 Domaine Marc Delienne 」 마크 드레인은 사람 이름입니다. 아주 푸근하고 후덕하신 인상의 할아버님이 마 zillix.tistory.com 마크 드레인 도멘 정보는 위 링크에 먼저 소개되어 있으니 보고오시길 추천드립니다. 앞에 내용에 추가.. 2020. 8. 30. Marc Delienne Beaujolais Rose Petit Ami 2018 가메 보졸레 로제와인추천 (마크 드리엔 로제 르 쁘띠 아미 2018) 상큼한 오렌지색을 나타내는 로제 르 쁘띠 아미 2018(Le Petit Ami 2018) 소개 시작하겠습니다. 「 Domaine Marc Delienne 」 마크 드레인은 사람 이름입니다. 아주 푸근하고 후덕하신 인상의 할아버님이 마크 드레인이시지요. 올해 60세라고 하시는데 꽤나 정정해 보이십니다. ㅎㅎ 아무튼 60세에도 불구하고 "나는 젊은 와인 메이커다"라고 말씀하시는 모습은 꽤나 인상적입니다. 그도 그럴것이 파리에서 금융소프트웨어 분야의 비지니스를 하시고 그의 이름을 내건 도멘을 2015년에 시작하셨기 때문이죠. 나이와는 별개로 아직 열정넘치는 젊은 와인 메이커는 분명해 보입니다. 저도 벌써 직장 후의 무슨 일을 해야하나 고민인데, 본인이 좋아하고 즐겨 마셨던 와인을 직접 만드려는 생각과 그것을 .. 2020. 8. 30. Domaine Philippe Livera Gevery-Chambertin 'Clos Village' 2017 피노누아 부르고뉴 레드와인 추천(Red, Pinot noir, France) 「 Domaine Philippe Livera 」 즈브레 샹베르땅지역이 끌로 빌라주라는 포도밭에서 생산된 빌라주급 와인입니다. 피노누아 100%에 즈브레 샹베르땅 AOC를 달고 나온 것이지요. 끌로 빌라주 밭은 Livera 가족의 집을 바로 마주한 바깥에 위치한 얕은 벽으로 구분되어진 포도원입니다. 바로 아래의 붉은색의 두 기둥사이의 작은 문이 끌로 빌라주의 게이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 건너에는 포도밭이 있고요. 여기에 생산된 와인이 바로 제가 저번주에 마셨던 즈브레 샹베르땽 레드와인이 되겠습니다! Livera 는 즈브레 지역에서 손꼽이는 와인메이커 주자면서 유연하고 우아한 와인을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다 합니다. 와인은 핸드픽킹되며, 탱크 안에 있는 효모에서 탈포, 발효되며 약 40%의 새 목재로 .. 2020. 7. 6. Domaine Tollot-Beaut Chorey-Les-Beaune 2017 피노누아 부르고뉴 레드와인 추천(Red, Pinot noir, France 쇼레-레-본 피노누와) 「 Domaine Tollot-Beaut(도멘 똘로 보) 」 21세기인 현재는 낯설겠지만 19세기인, 1880년부터 Francois Tollot에 의해 Chorey-Les-Beaune에서 포도를 재배하여 와인을 만들어온 아주 오래된 전통있는 도멘입니다. Chorey-Les-Beaune(쇼레 레 본)은 Cote d'Or(코드 도르) 절벽 아래 위치해있으며 1921년부터 코트 도르에서 와인을 최초로 만든 생산자입니다. 136헥타르 대부분이 피노누아를 재배하며 약 4%만의 공간에서 샤르도네가 재배되고 있습니다. 인공비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핸드 픽킹으로 전적으로 수작업에 의해 완벽하게 성숙한 포도만을 수확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손 수확된 포도들은 짓눌려지지 않게 탱크 속으로 들어가 10~12일 간의 발효가 진행.. 2020. 6. 28. 커피로스팅 정의와 잘하는 방법_Foundation of Roasting(2) 「 로스팅 - 열 전달하는 법(Heat transfer) 」 저번 글에 로스팅에 대한 정의와 로스팅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해 개략적으로 알아보았습니다. 로스팅에 대한 정의는 커피가 가진 본연의 좋은 향과 맛을 최대치로 발현할 수 있게 한다고 했습니다. 즉, 생두의 잠재능력을 그대로 뽑아내는 것이겠지요. 하지만 로스팅이라는 것의 본질은 원두에 열을 가해 구워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주는 것이라 하겠습니다. 그럼 원두에 열은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학창시절 과학시간에 많이 들어보셨을 단어입니다. ● 전도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릅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열도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기 마련입니다. 즉, 전도라하면 열이 온도가 높은 따뜻한 곳에서 온도가 낮은 차가운 쪽으로 이동하.. 2020. 6. 10. Bourgogne Rouge 2017, Trapet Pere & Fils 피노 누아, 부르고뉴 레드와인 추천 「 Domaine Trapet Pere & Fils(도멘 트라페 뻬흐 에 피스) 」 즈브레 샹베르땅(Gevrey-Chambertin) 마을에서 무려 7대에 걸쳐 내려오는 와이너리로써 그 가운데 가장 뛰어남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합니다. 즈브레 샹베르땅의 그랑 크튀인 중요한 포도밭들을 소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필록세라라고 유럽 포도밭을 쑥대밭으로 만든 해충이 있는데 포도 뿌리와 잎에 기생해서 영양분과 수분을 흡수해 식물의 성장을 방해한다고 합니다. 프랑스의 포도밭이 3/4이상 극심한 피해를 입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때 트라페는 포도나무에 접목시키는 방법을 활용해 그 어려운 시기를 극복했다고 합니다. 필록세라로부터 즈브레 샹브르땅을 지킨 수호자 이기도 한 셈입니다. 여전히 자연주의를 따른 와인 양조 방식을 .. 2020. 6. 3.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