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미/Coffee

(14)
스타벅스 배달서비스 시범운영 내용요약 1분기부터 코로나나 터지고 장기화되며 모두 지친 상태일 텐데요. 코로나 블루라는 전문 용어도 생겼을 정도니까요. 수도권에 코로나가 다시 2단계로 격상되었고 매장 내 고객 서비스가 불가함에 따라 스타벅스도 매출 감소에 부담을 느꼈나 봅니다. 배달이 또 다른 트렌드가 되면서 스타벅스 또한 배달 서비스를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네요. 아래 글 보시고 내용 확인하시고 이용 시 도움이 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어디서 하나요(매장정보) 아래 2곳은 딜리버리 시범 매장으로 고객들이 매장에 방문하여 체류하거나 주문 후 테이크아웃을 하는 기존 매장의 기능이 없습니다. 딜리버리 전용이라고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스타벅스 딜리버리 테스트 매장 시범운영(2곳) . 스타벅스 역삼이마트점(11/27일 오픈 예정, 강남구 역삼로 ..
커피로스팅 정의와 잘하는 방법_Foundation of Roasting(2) 「 로스팅 - 열 전달하는 법(Heat transfer) 」 저번 글에 로스팅에 대한 정의와 로스팅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해 개략적으로 알아보았습니다. 로스팅에 대한 정의는 커피가 가진 본연의 좋은 향과 맛을 최대치로 발현할 수 있게 한다고 했습니다. 즉, 생두의 잠재능력을 그대로 뽑아내는 것이겠지요. 하지만 로스팅이라는 것의 본질은 원두에 열을 가해 구워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주는 것이라 하겠습니다. 그럼 원두에 열은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학창시절 과학시간에 많이 들어보셨을 단어입니다. ● 전도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릅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열도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기 마련입니다. 즉, 전도라하면 열이 온도가 높은 따뜻한 곳에서 온도가 낮은 차가운 쪽으로 이동하..
커피로스팅 정의와 잘하는 방법_Foundation of Roasting(1) 「 로스팅이란 - 로스팅의 정의 」 로스팅은 Green bean(생두)에 열을 가해 생두의 세포 조직들이 변하면서 그 안에 있는 다양한 성분들이 발현되어 커피의 향과 맛을 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성분이라하면 카페인, 유기산, 당과 지방등이 될 수 있겠습니다. 아래 사진 좌측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두는 커피 체리에서 숙성된 씨앗이 커피 프로세싱이란 과정을 통해 가공된 상태입니다. 우측에 우리가 익히 아는 커피의 모습과는 많이 다른 모습입니다. 겉모습의 차이 뿐만이 아닌 생두는 커피의 향과 맛이 전혀 느껴지지 않으며 잔디밭의 풀을 뜯어서 맡았을 때의 향이 나게 됩니다. 이런 생두를 로스팅이라는 과정을 통해 우리가 마실 수 있는 커피의 원두로 만드는 것이지요. 커피 맛에 절대적인 비중(50~6..
스타벅스 굿즈 속에 숨은 펜덤경제학이란_커피 300잔의 기행 오늘 퇴근길에 들은, 저에게는 다소 기이한 행태의 뉴스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스타벅스 여의도점에서 한 명의 소비자가 여름에만 한정으로 제공하는 굿즈를 타기위해 커피 300잔을 주문한 기이한 내용이였습니다. 한 소비자는 21일 여의도점에서 총 300잔의 음료를 주문한 후 사은품인 서머레디백이란 굿즈를 총 17개 받아갔다고 합니다. 300잔의 음료값은 무려 130만원이 넘는 금액으로 본인이 마신 한, 두잔의 커피를 제외하고 제조된 커피들은 매장 밖에 쌓여 "All free"라고 적어놓아 무료 제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이 폐기처리가 되었다고 합니다. 남의 물건에 손을 잘 안대는 한국인의 습성과 함께 코로나가 유행해 선뜻 확실하지 않은 음료에 손을 대기가 쉽지 않았을거라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무엇을 얻기 위..
에스프레소 채널링(Channeling)의 정의, 원인, 영향 ▶ 채널링(Channeling)의 정의와 영향 채널링이라고 하면 불균일한 추출을 떠올리시면 됩니다. 즉, 추출되는 유로 사이의 어떤 불균형이 일어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제껏 지속적으로 설명드린 레벨링과 템핑과도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는 용어입니다. 잘못된 레벨링과 템핑에 따른 결과로써 채널링이 발생한다고 보면 될 거 같습니다. 잘못된 추출법, 습관에 따라 채널링이 발생하고 커피 맛은 일관성없는 제멋대로의 맛이 발현되는 것이죠. 예를 들어 설명드리면 의도적으로 채널링을 발생하도록 탬핑 전에 원두의 고른 분배를 망치도록 특정 영역을 손끝으로 꾸욱 눌러준다고 가정합니다. 손으로 눌러지면서 주변으로 원두가 밀려나고 눌러진 영역은 원두밀도가 적어 지게 되죠. 상상되시나요? 그 상태로 바로 추출을 이어간다면 원..
에스프레소 태핑(Taping) 정의 및 효과(ft. 채널링(Channeling)효과) 커피를 처음 접하거나 배우는 곳에 따라 에스프레소 추출하는 방식에 조금씩 차이가 있는 거 같습니다. 가장 베이직한 경우를 따지면 ① 그라인딩(갈기) ② 도징(담기) ③ 레벨링(고르게 분배하기) ④ 탬핑(누르기) ⑤ 퍼징(추출 전 물 배출) ⑥ 추출로 볼 수 있을거 같습니다. 물론 그라인딩 전 머신 점검, 잔 준비, 이전의 추출로 인해 포터필터에 담긴 물기를 린넨으로 제거하는 등의 준비 사항들이 당연히 필요하겠습니다. 그런데 태핑이라는 형식의 과정이 저 단계 어딘가에 추가되어 가르쳐지는 곳도 있는 거 같더라고요. 커피전문점에서 유심히 보다보면 탬핑 후 탬퍼의 손잡이 끝 부분으로 포터필터의 옆구리를 툭 하고 치는 행위를 보게되더라고요. 이것이 바로 태핑(Tapping)이라고 합니다. 바로 아래 사진처럼 말이..
에스프레소 템핑(Tamping) 정의 및 방법, 추출 루틴(2) 바로 이어서 템핑(Tamping)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글인 레벨링(Leveling)을 읽고 오신다면 좀 더 이해하시는데 좋을 거 같습니다. 에스프레소 레벨링(Leveling) 정의 및 방법, 추출 루틴(1) 에스프레소 레벨링(Leveling) 정의 및 방법, 추출 루틴(1) 오늘은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때의 필수(?) 루틴 중에 하나인 레벨링(Leveling)과 템핑(Tamping)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맛있는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 그라인더를 통해 원두를 잘게 갈아준 후 포 zillix.tistory.com 템핑(Tamping)은 무엇인가요? 오늘도 네이밍된 단어 뜻부터 알아보겠습니다. 탬프(Tamp)라는 의미는 다져 넣다, 다지다라는 뜻으로 템핑은 다지는 작업을 말하죠. 전후과정을 붙여 ..
에스프레소 레벨링(Leveling) 정의 및 방법, 추출 루틴(1) 오늘은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때의 필수(?) 루틴 중에 하나인 레벨링(Leveling)과 템핑(Tamping)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맛있는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 그라인더를 통해 원두를 잘게 갈아준 후 포타필터에 적절한 양을 담아 에스프레소 머신에 장착해서 커피를 뽑게 되는데요. 이 가운데 꼭 해줘야하는 것이 바로 레벨링과 템핑이 되겠습니다. 그럼 레벨링부터 자세히 알아보죠! 레벨링(Leveling)은 무엇인가요? 전 역시나 단어 뜻부터 시작합니다. 왜냐하면 모든 것은 그렇게 이름 붙여진 이유가 있기 때문이죠. 이름에서 풍기는 뉘앙스만 알아도 이해하기가 훨씬 쉽다고 생각됩니다. 레벨링을 찾아보면 평평하게 함, 땅을 고르게함이라는 뜻을 가진 명사네요. 우리는 무엇을 고르게 하면 될까요? 맞습니다. 그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