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부터 상하수도 요금이 인상됨에 따라,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감면 대상 여부를 확인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다자녀가정 등은 상하수도 요금을 감면받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이 글에서는 대상자 확인부터 신청까지 모든 절차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1️⃣ 감면 대상자
- ✅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 ✅ 차상위계층(한부모가정, 장애인·자활대상자 등)
- ✅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 ✅ 독립유공자·국가유공자 및 유족
- ✅ 다자녀가정 – 지자체마다 기준 상이, 서울은 2명 이상, 지방은 3명 이상도 해당 가능
대상 유형 | 세부 조건 |
---|---|
기초생활수급자 |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수급 |
차상위계층 | 한부모가정, 장애인·자활 대상자 등 |
장애인 | ‘장애의 정도가 심한’ 등록 장애인 |
국가유공자 | 본인 또는 유족 |
다자녀가정 | 자녀 수·나이 기준 지방자치별 상이 (예: 서울 2명 이상, 지방 3명 이상) |
2️⃣ 감면율
- ✅ 기초생활·차상위·장애인·국가유공자: 수도 및 하수도 요금 전액 또는 일부 감면 가능
- ✅ 다자녀가정:
- 서울·지방 “2자녀 이상” → 기본요금 10% 감면
- “3자녀 이상” → 30% 감면 (예: 대전시 기준)
※ 저소득·다자녀라면 기본요금 30% 감면! 하며 가계 부담을 즉시 줄일 수 있습니다
3️⃣ 신청 방법
-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정부24 → 공공요금 감면신청 메뉴 접속
- 본인인증 (공동인증서·카카오·네이버 인증서 등)
- 신청서 작성 → 주민등록등본, 복지대상 증명서, 고지서 사본 등 서류 첨부
- 온라인 접수 또는 주민센터/수도사업소 방문 접수
✔️ 준비 체크리스트
- ✅ 해당 자격의 증명서류 준비(예: 수급자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 ✅ 수도요금 고지서 또는 계량기 번호 확인
- ✅ 신청 후 익월 고지서 감면 적용 여부 확인
4️⃣ 신청 후 확인 및 주의사항
- 📌 익월 고지서부터 감면 적용 (소급 적용 지자체 제외)
- 📌 감면 후 요금고지서 '감면 내역'란에 표시됨
- ⚠️ 기초생활수급자 등은 다른 복지 감면과 중복 불가 (일부 제한)
- ⚠️ 타 지역 이사 시 또는 자격 변경 시 반드시 감면 해지·변경 신청 필요
✅ 마무리
감면 대상자라면 필수로 신청해 공공요금 부담을 줄이세요. 정부24, 지자체 홈페이지, 주민센터에서 빠르게 확인 가능하며, 필요시 서류 안내·작성 지원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궁금한 점 언제든지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