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Business

집에서 통신판매업 신고하는 방법

 

오늘은 집에서 간단히 인터넷을 통해 통신판매업 신고를 한 경험을 공유하려 합니다.

온라인 판매를 위해 통신판매업 신고를 기본으로 해야 하는데요. 처음 하시는 분께 도움이 되는 안내이길 바랍니다. :D

< 함께보면 좋은 글 >

 

집에서 인터넷으로 사업자 등록증 발급하는 법

안녕하세요. 질링스입니다. 요새 삶이 팍팍해서 많은 분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투잡을 시도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수개월 전 유튜브를 통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스마트스토어나 온라인

zillix.tistory.com

#0 신고 전에 반드시 준비해주세요.


통신판매업 신고 전에 반드시 사전에 준비하셔야할 준비물이 있습니다.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은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판매자 가입을 신청을 하시면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사업자 등록증
  •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

#1 통신판매업 신고를 위해 아래 링크에 접속해주세요.(정부24)


구글에 [통신판매업 신고]를 작성하신 후 해당 링크에 들어가셔도 됩니다.

 

통신판매업신고 | 민원안내 및 신청 | 민원24 | 정부24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www.gov.kr

#2 민원안내 및 신청의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통신판매업 신청을 하기 위해 정부 24 홈페이지에 접속하시면 제일 처음 나오는 화면입니다.

아래 신청하기 버튼을 누르시면 통신판매업 신청 절차가 시작됩니다.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3 통신판매업 신고를 위한 정보를 작성해주세요.


아래 내용을 순서대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제 경우는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의 경우로 제출서류로 구매안전서비스 이용 확인증만 제출하였습니다. 사업자등록증은 행정정보 이용에 사전 동의하신다면 제출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순서대로 따라가시면서 해보시면 쉽게 입력 가능하십니다.

 

 

#4 처리가 되면 수령 기관에 발급받으려 갑니다.


제 경우는 반나절도 되지 않아 통신판매업 신고 처리 문자를 받았습니다. 신고증 수령 기관으로 설정한 시청에 방문하여 신고증을 받으면 모든 게 완료되게 됩니다. 면허세도 납부해야 하는 점 기억해주세요. :D

< 함께 보면 좋은 글 >

 

간이사업자 부가가치세 무실적 신고 방법(ft. 홈택스)

안녕하세요. 질링스입니다. 오늘은 사업을 새로 시작해 간이사업자로 사업자등록을 내신 분들 중 무실적인 분들의 부가세 무실적 신고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극히 제 개인적 경험에

zillix.tistory.com